본 포스팅 시리즈는 삼프로 TV 오건영 팀장님의 인사이트를 제 나름 이해하고 정리하였습니다.
미국 달러 약세??
달러 영향력을 나타내는 미달러 인덱스가 하락하는 추세이다. 2010년 중반 이후 미국의 성장세는 매우 높아졌다. 1500이하 선에서 움직이던 S&P 지수는 2015년 이후 2000 선을 순식간에 넘어섰다. 여기에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까지 올렸다. 높은 금리와 투자 수요 증가는 달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강한 달러 양상이 계속되었다.
2019년 미 연준은 미중 무역전쟁(중국 죽이기)와 세계 경제둔화 조짐을 막기 위해 높여왔던 기준금리를 낮추기 시작했다. 이 시기 S&P 500 지수는 벌써 3000선을 넘어서고 있었다. 미국 증시의 빠른 성장세에 금리 인하로 인한 달러 유동성 완화는 달러 강세 기조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2020년 코로나 사태가 벌어졌다. 2020년 미국 GDP 성장율은 마이너스로 전망되고 있다. 게다가 금리까지 0%로 한번에 내렸다. 독일이나 일본 같은 여타 선진국들은 이미 마이너스 금리로 코로나 사태로 이후 금리가 변하지 않았다. 여기에 연준이 국채 뿐만 아니라 회사채 매입까지 나서면서 달러 가치는 한없이 추락하고 있다.
달러 약세, 그날이 오면....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우리는 어디에 그리고 어떤 자산에 주목해야 할까? 달러 인덱스는 세계 6개국 통화(유로, 엔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위스 프랑, 크로나)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낸 수치이다. 만약 달러인덱스가 100 이하이면 달러 약세, 100 이상이면 달러 강세를 나타낸다.
달러 약세 추세에세는 미국 내에 있는 자산(미 주식시장, 미국채 등)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연준이 큰 마음을 먹고 마이너스 금리가 실현된다면 달러 약세는 가속화될 것이다. 달러가 약해지면 규모 있는 이머징 국가 자산의 가치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대표적으로 브라질, 중국, 인도, 한국 등이 대표적인 이머징 국가다.
달러인덱스, 미국 증시, 이머징국가 증시의 관계
달러인덱스와 미국 증시 그리고 이머징국가 간 증시 관계는 일련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 90년대, 00년대, 10년대 세 지수의 추이를 보자.
1990년대는 후반으로 갈수록 미국증시(S&P 500)가 강하고 이머징 주식이 약세를 보인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달러 강세와 미국 증시의 강세 그래프가 유사한 형태라는 점이다.
2000년대 초 120까지 올라간 달러 인덱스가 상승세를 주춤하고 하락할때 미국증시는 조정국면을 보여주며 옆으로 이동하고 있다. 달러 약세가 되었을 때 비로소 이머징 주식이 상승 추세를 보여준다.
2010년대는 달러 인덱스 상승과 미국 증시의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준다. 다만 이머징 주식은 10년간 조정국면을 보이며 옆으로 움직이고 있다. 앞서 알아본 자본시장의 환경은 달러 약세로 기울고 있는 추세다. 그렇다면 2020년대에는 2000년대 자본시장과 비슷하게 달러 약세 속에서 미국 증시는 주춤하고 이머징 국가의 증시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경제 기록 > 경제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삼프로TV] 달러약세, 세계 금융시장 변화의 조짐 3 : 중국 (0) | 2020.07.31 |
---|---|
[경제공부/삼프로TV] 달러약세, 세계 금융시장 변화의 조짐 2 : 홍콩 (0) | 2020.07.27 |
[경제공부/삼프로TV] 달러약세, 세계 금융시장 변화의 조짐 1 : 환율제도의 이해 (0) | 2020.07.26 |
[경제공부/산업] 포스트 코로나, 홈트레이닝 시대의 변화 4 : 비교 (0) | 2020.07.20 |
[경제공부/산업] 포스트 코로나, 홈트레이닝 시대의 변화 3 : 나이키 (0) | 2020.07.14 |